맨위로가기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는 1760년 작센 선제후국에서 태어난 프로이센의 군인이자 군사 개혁가이다. 그는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고 프로이센군에 입대하여, 예나 전투에서 패배한 후 콜베르크를 방어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샤른호르스트와 함께 프로이센 군 개혁을 주도했으며, 나폴레옹 전쟁에서 블뤼허와 협력하여 라이프치히 전투와 워털루 전투 승리에 기여했다. 그는 백작으로 서임되었으며, 이후 베를린 지사와 육군 원수를 역임했으나, 1831년 콜레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급 스뱌토고블라디미르 훈장 수훈자 - 요한 폰 클레나우
    오스트리아 제국군 장군인 요한 폰 클레나우는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하며 명성을 얻었고, 아스페른-에슬링 전투에서의 공헌으로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을 수여받았다.
  • 2급 스뱌토고블라디미르 훈장 수훈자 - 표도르 우샤코프
    표도르 우샤코프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제독으로, 혁신적인 해전술로 러시아-튀르크 전쟁과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며 43회의 해전에서 무패를 기록, 이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어 러시아 해군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에르푸르트 대학교 동문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에르푸르트 대학교 동문 - 마테우스 젤
    16세기 스트라스부르에서 종교 개혁을 주도한 마테우스 젤은 카이저스베르크 출신으로 여러 대학에서 수학하고 요한 가일러 폰 카이저스베르크의 영향을 받아 종교 개혁 사상을 형성했으며, 자신의 집을 개방하여 종교 모임을 갖고 설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개신교 신앙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
  • 프로이센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는 프랑스 출신의 시인이자 식물학자이며, 프로이센 군 복무와 세계 일주 탐험을 거쳐 소설 《페터 슐레미흘의 기이한 이야기》를 대표작으로 남겼고, 식물학 연구와 시 창작으로 명성을 얻었다.
  • 프로이센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는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로이센 왕국의 군인이자 원수로, 워털루 전투 승리에 기여했으며 '전진 원수'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용맹함과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인물이다.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게오르게 다베, 원수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백작 (1760–1831), 1818년
게오르게 다베 그림, 1818년
이름아우구스트 빌헬름 안토니우스 그라프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출생일1760년 10월 27일
사망일1831년 8월 23일
출생지쉴다우, 작센 선제후국, 신성 로마 제국
사망지포젠, 포젠 주, 프로이센 왕국 (현재 폴란드, 비엘코폴스키에 주, 포즈난)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서명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서명
군사 경력
소속합스부르크 군주국
23x15픽셀 안스바흐 후국
프로이센 왕국
복무 기간1779년 – 1831년
지휘프로이센 제8 군단
주요 참전 전투미국 독립 전쟁
나폴레옹 전쟁
라옹 전투
리니 전투
워털루 전투
훈장
훈장푸르 르 메리트 훈장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
성 게오르기 훈장
추가 정보
작위그라프

2. 생애

1786년 미국에서 귀국한 그나이제나우는 프로이센군에 지원하여 보병 중위로 임관했다. 1793년부터 1794년까지 대 폴란드전에서 활약했고, 1796년에는 카로리네 폰 코트비츠와 결혼했다.

1806년 프로이센은 제4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여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했고, 그나이제나우는 호엔로에 후작의 참모로 종군했다. 같은 해 10월 14일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은 대패했다. 그나이제나우는 추격전 중에 후작을 대신해 지휘를 맡아 11월 6일까지 저항한 끝에 마그데부르크에서 프랑스군에게 항복했다. 포로 교환으로 석방된 후 쾨니히스베르크로 이동하여 레스토크 장군의 부하가 되었다. 이후 발트해의 콜베르크 요새에 파견되어 1807년 7월 틸지트 조약 체결 시까지 요새를 지켜냈다. 이 공적으로 중령으로 승진하고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

강화 후,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가 조직한 군 개혁 위원회[12]의 위원으로 선출되어 프로이센군 재건에 힘을 기울였다. 1809년 대령으로 승진했다. 군제 개혁은 더디게 진행되었지만, 나폴레옹은 이를 경계하여 압력을 가했다. 1809년 9월 개혁파 수상 슈타인이 경질되고,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개혁 중지 명령을 내렸다.

1811년, 프로이센이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러시아 원정에 참가하자 샤른호르스트 등 개혁파 장교들은 군을 떠났다. 그나이제나우도 퇴역을 고려했으나, 정부는 그의 재능을 고려하여 특사로 러시아 제국, 스웨덴, 영국에 파견했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이 실패로 끝나자 베를린으로 돌아와 군사 업무에 복귀했다.

1813년 프로이센이 프랑스에 선전 포고를 하면서 해방 전쟁이 시작되었다. 프로이센군 총사령관은 블뤼허였고, 참모총장은 샤른호르스트였다. 그나이제나우는 참모차장[14]이 되어 함께 작전 입안을 맡았다. 그러나 뤼첸 전투에서 샤른호르스트가 부상으로 사망하자, 그나이제나우가 참모총장이 되었다. 그는 각 사단에 배속된 참모장교가 참모총장에게 직접 의견을 상신할 수 있도록 정하고, 명령 전달에 훈령을 사용하여 명령을 성문화했다.

제6차 대프랑스 동맹 결성 후, 블뤼허는 그나이제나우에게 작전 입안과 실행을 모두 위임했다. 1813년 10월, 연합군은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했다. 1814년 3월, 프로이센군은 파리에 입성했고, 나폴레옹은 엘바 섬으로 추방되었다. 빈 회의에서 그나이제나우는 나폴레옹 처형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해 말, 그나이제나우는 백작 작위를 받았다.

1815년 나폴레옹이 엘바 섬을 탈출하여 백일천하가 시작되자, 그나이제나우는 다시 참모총장이 되어 블뤼허와 함께 나폴레옹 타도에 나섰다. 리니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이 패배하고 블뤼허가 부상당하자, 그나이제나우는 군 지휘를 맡아 프로이센군을 일시 후퇴시켰다. 이후 워털루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이 영국군과 연합하여 프랑스군을 격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전쟁 종결 후, 그나이제나우는 코블렌츠 군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를 참모장으로 임명했다. 1816년 7월 퇴역하여 작센의 장원을 하사받았다. 1818년 베를린 지사 및 국회의원이 되었고, 1825년 육군 원수로 진급했다. 1831년 폴란드 변경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나, 포즈난에서 콜레라에 감염되어 1831년 8월 23일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760년 10월 27일 작센 선제후국의 쉴다우에서 작센 포병 중위 아우구스트 빌헬름 나이트하르트와 그의 아내 마리아 에바 나이트하르트(결혼 전 성은 뮐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쉴다우에서 극심한 가난 속에 성장했으며, 이후 뷔르츠부르크에르푸르트에서 자랐다. 1777년 에르푸르트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2년 후 그곳에 주둔해 있던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연대에 입대했다. 1782년 오스트리아에 있던 그의 가문이 잃어버린 영지에서 따온 '그나이제나우'라는 이름을 추가하여, 바이로이트-안스바흐 변경백의 군대에 장교로 입대했다. 그 군주의 용병 연대 중 하나로, 영국의 지원을 받아 미국 독립 전쟁에서 실전 경험을 쌓았다.

1786년 귀국하여 프로이센 군에 입대 지원을 했고, 프리드리히 2세는 그에게 보병 중위 임무를 부여했다. 1793년부터 1794년까지 폴란드에서 복무했다. 이후 10년 동안 야보르에 주둔하며 군사 및 정치 역사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수행했다. 1796년 카롤리네 폰 코트비츠와 결혼했다.

2. 2. 나폴레옹 전쟁 초기: 프로이센군의 패배와 굴욕

1806년 프로이센은 제4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여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했고, 그나이제나우는 호엔로에 후작의 참모로 종군했다. 같은 해 10월 14일, 프로이센군은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크게 패했다. 그나이제나우는 추격전 중에 후작을 대신해 지휘를 맡아 11월 6일 최후까지 저항을 계속한 끝에 마그데부르크에서 프랑스군에게 항복했다.

포로 교환으로 석방된 그나이제나우는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가 도망친 쾨니히스베르크로 향했고, 레스토크 장군의 부하가 되었다. 그나이제나우는 나폴레옹 군대에 포위된 발트해의 콜베르크 요새에 해상을 통해 파견되어 틸지트 조약이 체결된 1807년 7월까지 그곳을 지켜냈다. 이 공적으로 그나이제나우는 중령으로 승진하고, 프로이센군 최고의 영예인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수여받았다.

2. 3. 프로이센 군제 개혁

샤른호르스트가 조직한 군 개혁 위원회[12]의 위원으로 선출되어 프로이센 군 재건에 힘썼다. 그나이제나우는 샤른호르스트의 가장 뛰어난 보좌관으로서 개혁에 공헌했다. 1809년 대령으로 승진했다. 군제 개혁은 서서히 진행되었지만, 나폴레옹은 이를 경계하여 여러 방면에서 압력을 가했다. 1809년 9월 개혁파 수상 슈타인이 경질되고, 이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개혁 중지 명령을 내렸다.

1811년 프로이센이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러시아 원정에 참가하자, 샤른호르스트를 비롯한 개혁파 장교들 다수가 군을 떠났다. 그나이제나우도 퇴역을 고려했으나, 그의 재능을 아낀 정부의 의향에 따라 상황이 변할 때까지 특사로서 러시아 제국, 스웨덴, 영국을 순회했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이 실패로 끝나자 베를린으로 귀환하여 군사 업무에 복귀했다.

2. 4. 해방 전쟁 (1813-1814)

1813년 프로이센이 프랑스에 선전 포고를 하면서 해방 전쟁이 시작되었다. 프로이센군 총사령관은 블뤼허였고, 그나이제나우는 샤른호르스트 사후 참모총장이 되었다.

제6차 대프랑스 동맹 결성 후, 블뤼허는 그나이제나우에게 작전 입안과 실행을 모두 위임했다. 블뤼허와 그나이제나우는 군 지휘관과 참모총장으로서 뛰어난 호흡을 보여주었다. 그나이제나우는 동맹군에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는 참모들을 파견하여 각 군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했다. 스웨덴군에는 Hermann von Boyen|헤르만 폰 보이엔de, 오스트리아군에는 Karl von Grolman|카를 폰 그롤만de이 파견되었다.

1813년 10월, 연합군은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했다. 이는 그나이제나우의 전략 덕분이었다. 1814년 3월, 프로이센군은 파리에 입성했고, 나폴레옹은 엘바 섬으로 추방되었다. 빈 회의에서 그나이제나우는 나폴레옹 처형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해 말, 그나이제나우는 백작 작위를 받았다.

2. 4. 1. 1813년: 샤른호르스트의 죽음과 참모총장 취임

1813년 프로이센이 프랑스에 선전 포고를 하면서 해방 전쟁이 시작되었다. 프로이센군 총사령관은 블뤼허, 참모총장은 샤른호르스트였고, 그나이제나우는 참모차장이 되었다.[14] 이들은 함께 작전을 입안했다. 그러나 프로이센의 춘계 공세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했고, 그로스겔셴 전투에서 샤른호르스트가 부상으로 사망했다. 그나이제나우는 클라우제비츠와 함께 샤른호르스트를 추모하는 글을 썼으나, 정부는 공개를 허락하지 않았다. 이에 격분한 그나이제나우는 맹렬히 항의하여 공개를 얻어냈다.

샤른호르스트의 사망으로 그나이제나우는 참모총장 자리를 이어받았다. 그는 각 사단에 배속된 참모장교가 참모총장에게 직접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하고, 명령 전달 시에는 훈령을 사용하여 명령을 성문화했다. 이를 통해 명령을 빠르고 확실하게 전달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훈령을 해석하는 것은 참모장교의 역할이었기 때문에, 프로이센군은 참모를 중심으로 통일된 지휘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2. 4. 2. 1813-1814년: 라이프치히 전투와 파리 함락

1813년 프로이센이 프랑스에 선전 포고를 하면서 이른바 제국민 해방 전쟁이 시작되었다. 프로이센군 총사령관은 블뤼허, 참모총장은 샤른호르스트였다. 그나이제나우는 참모차장[14]이 되어 함께 작전 입안을 맡았다. 그러나 프로이센의 춘계 공세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했고, 그로스겔셴 전투에서 입은 상처로 샤른호르스트가 사망했다. 샤른호르스트의 사망으로 그나이제나우가 그의 후임이 되었다.

그나이제나우는 각 사단에 배속된 참모장교가 직접 참모총장에게 의견을 상신할 수 있도록 정했다. 또한 명령 전달에 명령을 성문화한 훈령을 사용했다. 이를 통해 명령의 신속한 전달과 확실한 이해를 기대할 수 있었다. 훈령을 해석하는 것은 참모장교의 역할이므로 프로이센군은 참모를 통해 통일된 지휘 체계를 획득할 수 있었다.

8월, 제6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어 각 방면에서 프랑스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었다. 프로이센군 총사령관 블뤼허는 그나이제나우를 신뢰하여 그에게 작전 입안부터 실행까지 모든 것을 위임했다. 블뤼허와 그나이제나우는 군 지휘관과 참모총장의 역할 분담이 잘 이루어진 훌륭한 콤비였다. 또한, 그나이제나우는 동맹군에 자신과 같은 생각을 가진 참모를 파견했다. 스웨덴군에는 Hermann von Boyen|헤르만 폰 보이엔de, 오스트리아군에는 Karl von Grolman|카를 폰 그롤만de이 파견되어 각 군은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도 의사를 공유할 수 있었다.

9월, 대 나폴레옹 연합군은 유례없는 규모의 분진합격으로 세 방향에서 프랑스군을 압박했다. 10월 중순, 연합군은 라이프치히 부근에서 40만이 넘는 병력 집중에 성공하여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했다. 이 승리는 전략적 수준에서의 포위를 완성한 그나이제나우의 작전 덕분이었다. 동맹군은 프랑스 본토로 침공하여 전술적인 패배를 겪기도 했지만, 전략적으로는 프랑스군을 착실하게 궁지에 몰아넣었다. 1814년 3월 13일, 블뤼허가 직접 지휘하는 프로이센군은 파리에 입성했다. 나폴레옹은 엘바 섬으로 추방되었고, 포스트 나폴레옹을 논의하는 빈 회의가 개최되었다. 그나이제나우는 나폴레옹을 살려두는 것은 위험하며 사살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해 말, 대 프랑스 전에서의 공적으로 그나이제나우는 백작으로 서임되었다.

2. 5. 워털루 전투 (1815)

1815년 나폴레옹이 엘바 섬을 탈출해 이른바 백일천하가 시작되었다. 그나이제나우는 다시 참모총장이 되어 총사령관 블뤼허와 함께 나폴레옹 타도에 나섰다. 당시 영국군과 프로이센군은 네덜란드에, 오스트리아군은 라인란트에 있었다. 유럽 열강들은 제7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해 프랑스군을 포위하려 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은 연합군이 합류하기 전에 각개격파를 위해 재빨리 네덜란드로 향했다. 6월 16일 리니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은 패배했고, 블뤼허는 부상을 당했다. 그나이제나우는 총사령관을 대신해 지휘를 맡아 일시적으로 프로이센군을 후퇴시켰다.[7]

리니 전투에서 영국군은 프로이센군을 지원하지 않았고, 그나이제나우는 그들에 대해 불신감을 갖게 되었다. 그나이제나우는 프로이센군을 라인 방면으로 이동해 오스트리아군과 합류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블뤼허는 이를 허락하지 않고 그나이제나우에게 지휘를 맡겨 나폴레옹을 격파할 것을 명령했다. 프로이센군은 추격하는 그루시 군을 피해 결전장이었던 워털루(라 벨 아리앙스)로 강행군했다. 6월 18일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격전을 벌이는 도중에 프로이센군은 전장에 도착해 프랑스군 우익을 공격했다. 이것이 결정적인 타격이 되어 워털루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다. 프로이센군은 밤까지 추격을 계속해 프랑스군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그나이제나우는 나폴레옹의 마차를 노획했다.[7] 6월 22일 나폴레옹은 다시 퇴위되고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되었다. 11월 20일 제2차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20년 이상 지속된 나폴레옹 전쟁이 종결되었다.[7]

2. 6. 전후 활동 및 사망

전쟁이 끝난 후, 그나이제나우는 코블렌츠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를 참모장으로 임명했다. 그는 군사 업무를 계속하면서 베를린에 의욕적인 정책 제안을 보냈다. 그러나 그의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오히려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보수 반동적인 정치를 시작했다. 이에 실망한 그나이제나우는 1816년 7월 퇴역했고, 왕은 그에게 작센의 장원을 하사했다.

1818년, 그나이제나우는 베를린 지사가 되었고, 동시에 국회의원이 되었다. 1825년에는 워털루 전투 승전 10주년을 기념하여 육군 원수 지위를 받았다.

1831년, 폴란드에서 반란의 기미가 보이자, 그나이제나우는 변경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다시 클라우제비츠를 참모장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노령의 그나이제나우에게 군사 업무는 벅찼고, 포즈난에 주둔하던 중 콜레라에 감염되어 1831년 8월 23일 사망했다.

3. 유산 및 평가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와 함께 프로이센 군사 개혁의 핵심 인물로 평가받는 그나이제나우는 근대 군사 사상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특히 블뤼허와의 협력은 군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지휘관-참모 관계의 사례로 꼽힌다.[10] 라이프치히 전투 및 워털루 전투 승리의 주역으로서 그의 군사적 역량은 널리 인정받았다.

크리스티안 다니엘 라우흐가 제작한 그나이제나우 동상, 운터 덴 린덴, 베를린


1855년 크리스티안 다니엘 라우흐가 제작한 그나이제나우 동상이 베를린에 건립되었으며, 1807년 포위 공격을 기념하여 1889년에는 콜베르크 근위 연대가 그의 이름을 받았다. 그의 아들 중 한 명은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제8군단의 여단을 이끌었다.[11]

1918년 독일 봄 공세의 네 작전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장갑순양함 SMS ''그나이제나우'', 제2차 세계 대전 전함 ''그나이제나우'', 그리고 전후 훈련 프리깃을 포함한 여러 척의 독일 해군 함정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독일의 여러 도시에는 "그나이제나우슈트라세"(그나이제나우 거리)라는 이름의 거리가 있으며, 여기에는 베를린 (그의 이름을 딴 U-반 정류장이 있음), 라이프치히, 함부르크, 하노버하이델베르크가 포함된다. 마리 폰 브륄이 그린 그의 초상화는 독일 역사 박물관 소장품이다.

그나이제나우는 애국심과 군사적 전문성을 겸비한 개혁가로서, 그의 군사 사상은 현대 한국 국방 개혁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4. 기타



1918년 독일 봄 공세의 네 작전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1]

독일의 여러 도시에는 "그나이제나우슈트라세"(그나이제나우 거리)라는 이름의 거리가 있으며, 여기에는 베를린 (그의 이름을 딴 U-반 정류장이 있음), 라이프치히, 함부르크, 하노버하이델베르크가 포함된다.

그의 공적을 기려, 후에 "그나이제나우"라는 이름이 붙여진 군함은 다음과 같다.

함종함명비고
코르벳그나이제나우독일 제국 해군 소속의 비스마르크급 코르벳
순양함그나이제나우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샤른호르스트급 대형 순양함
전함그나이제나우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샤른호르스트급 전함
프리깃그나이제나우서독 해군의 Schulfregatte Klasse 138de로, 영국 해군의 헌트급 II형 구축함 HMS Oakley (L98)영어의 후신.


참조

[1] 문서 Graf
[2] IPA
[3] 서적 Handbuch über den Königlich Preußischen Hof und Staat: für das Jahr ... https://books.google[...] Decker
[4] 서적 Die Ritter des Ordens pour le mérite 1740–1811 https://gdz.sub.uni-[...] Ernst Siegfried Mittler & Sohn
[5] 문서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https://www.digitale[...]
[6] 서적 Der K. Bayerische Militär-Max-Joseph-Orden https://babel.hathit[...] Ganghofer'sche Buchdruckerei
[7] 서적 Staats und Adress Kalender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https://babel.hathit[...] Berenberg
[8] 웹사이트 Militaire Willems-Orde: Gneisenau, A.W.A.N. Graf von https://www.defensie[...] 1815-07-08
[9] 서적 Almanach de la cour: pour l'année ... 1817 https://books.google[...] l'Académie Imp. des Sciences
[10] 학술지 Five Things You Didn't Know About Carl von Clausewitz http://www.realclear[...] 2016-01-06
[11] 서적 1918: A Very British Victory Phoenix 2009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